금도끼
금요일마다 돌아오는 성북의 이야기를 들어보세요.
- [금도끼 #240] 선잠단에 켜켜이 쌓인 이야기를 현대적 공간으로, ‘카페 선잠’
- 최근 지역 고유의 문화자원을 활용하여 여러 상품이나 콘텐츠로 개발하려는 시도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10원 주화에 경주 불국사 다보탑(국보)이 그려져 있음에 착안하여 만들어진 ‘경주 십원빵’이 대표적 사례라고 할 수 있겠죠. 지역을 찾는 많은 관광객들의 큰 호응을 얻은 십원빵은 현재 대표적인 지역 브랜드로 자리 잡았고, 전국 각지에 십원빵을 판매하는 매장이 생겨났습니다. 심지어 일본에도 유사상품인 ‘십엔빵’이 생겨날 정도로요.
이 달의 마을아카이브
이 달에 기록된 성북 마을이야기를 만나봅니다.
- 이효정
- 보문동과 관련있는 독립운동가이다. 1933년 9월 21일 숭인면 신설리(현 성북구 보문동, 동대문구 신설동 일대)에 있었던 종연방직[종방(鐘紡)] 경성제사공장의 여성노동자들이 총파업을 주도했다. 이 사건은 1930년대 열악하였던 조선인 여성 노동자들의 상황과 당시 성북구의 노동환경을 알 수 있는 파업 사건이다. 종방 파업 이후 1933년 10월 17일 청량리에서 동대문경찰서 고등계 형사에게 붙잡혀 고초를 겪었다. 1935년 11월에는 이재유, 권우성 등이 주도 조직한 ‘경성지방좌익노동조합 조직준비회’에 가담하여 동지 규합과 항일의식 고취에 주력하다가 경찰에 검거되어 약 13개월 동안 서대문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렀다. 2006년에 건국포장을 받았다.
- 이야기 더보기
- 석관동 KTF 상가 건물
- 성북구 돌곶이로 74에 있는 주상복합 건물이다. 건물의 사용승인일은 1977년 7월 16일이다. 건축면적은 알 수 없고, 연면적은 467㎡이다. 돌곶이역 6번 출구에서 1분 거리에 있다. 건물은 지하 1층부터 지상 3층까지로 이루어졌다. 전체적으로 베이지와 갈색으로 도색 돼 있다. 건물 앞쪽은 상가로 이용되고 있지만 뒤쪽은 실제 사람들이 거주하는 거주 공간이다. 직사각형 모양의 균일한 창문이 있다. 건물 정면에 상가로 들어가는 문 정문 1개, 뒤쪽에 주거지로 들어가는 후문 1개가 있다. 정문으로 들어가면 바로 지하로 이어지는 계단과 올라가는 계단이 있었으며 내부 계단은 상당히 좁다. 정문 오른쪽에 오래된 우편함이 있다. 계단 중간마다 화장실이 있다. (2024학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이야기 더보기
- 동소문로23길 20 건물
- 성북구 동소문로23길 20(동선동4가 178)에 위치한 상가건물이다. 건물의 사용승인일은 1985년 7월 8일이며, 대지면적은 259.8㎡, 연면적은 622.2㎡이다. 건물의 용도는 근린생활시설이다. 지하 1층부터 지상 4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건물이다. 입점상가를 살펴보면, 지하 1층에는 공연예술 창작집단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 ‘프로덕션 IDA공간’이 있으며, 1층에는 ‘이모네 빈대떡’, ‘우리마트’, ‘구포국수’, ‘옛날통닭&호프’. 2층에는 ‘여명당구클럽’. 3층에는 ‘박전희색소폰연습실’이 있다. 4층은 주택으로 이용되고 있다. 외부에는 색이 바래진 간판들이 설치되어 있다. 주변은 차량 통행이 많으며, 도로의 폭이 좁은 편이다. 건물 인근에는 1층에 상가를 두고 2층에는 주거시설이 있는 근린생활시설 건물을 많이 찾아볼 수 있다. (2024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이야기 더보기
- 돌봄, 배움, 소통을 위한 정릉 마을카페 만들기
- 2012년 ‘성북구 마을만들기 공모사업’을 통해 정릉동 주민들이 지역공동체 사업으로 카페를 만들었던 일이다. 정릉동의 주민들이 마을 내에 다양한 세대와 계층이 만날 수 있는 사랑방 공간이 필요하다고 생각되어 동네 사람들의 소모임과 문화생활을 엮는 커뮤니티 카페를 구상하였고, 구청의 도움을 받아 ‘행복한 정릉 카페’를 열었다. 처음 발의한 사람들은 정릉동에 살면서 아이를 키우던 5명의 엄마들이었기에 아이 돌봄, 육아와 재교육 관련 배움의 공간, 정보 교류를 위한 소통 공간의 필요성이 컸기에 부담없이 들러서 만날 수 있는 카페라는 형태의 공간을 마련하게 된 것이다. 현재 정릉카페는 운영되고 있지 않으며, 2014년 폐점된 것으로 추정된다.
- 이야기 더보기
주제로 보는 성북
이야깃거리와 기록을 주제별로 묶어 관심 있는 주제를 한눈에 둘러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