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이야깃거리, 기록물 철, 기록물 건, 성북학 연구자료를 통합 검색하는 곳입니다.

검색정보 입력
587,033건의 자료가 검색되었습니다.
  • 전체
  • 이야깃거리
  • 기록물 철
  • 기록물 건
  • 성북학 연구자료
  • 도서

이야깃거리 검색결과 총 1,922건

더 보기
  • 거미동(거리의미술동아리)
    인물
    거미동(거리의미술동아리)
    성북구의 벽화봉사단체이다. 1997년 12월 창립되었으며, 부산 경남 거미동, 대구 경북 거미동, 대전 충청 거미동 등 전국적으로 지부를 두고 있다. 성북의 거미동은 서울과 경기 지역을 대상으로 벽화그리기 봉사활동을 하고 있으며, 회원들을 대상으로 벽화 그리기에 대해 교육하는 벽화제작학교도 진행하고 있다.
  • 석관상공인회
    인물
    석관상공인회
    성북구의 집수리 봉사단체이다. 2005년 1월 천석회라는 이름으로 시작하여 2014년 1월 석관상공인회로 단체명을 변경하였다. 관내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집수리봉사를 하고 있다.
  • 종암동청년회
    인물
    종암동청년회
    성북구의 집수리 봉사단체이다. 1994년, 종암동에 살던 20대~30대가 만든 친목 모임으로 시작하였다. 이왕이면 좋은 일을 하자고 하여 집수리 봉사를 시작하게 되었고, 관내 저소득계층을 대상으로 현재까지 200곳이 넘는 집을 수리해왔다.
  • 성북금우집수리봉사단
    인물
    성북금우집수리봉사단
    성북구의 집수리 봉사단체이다. 금우는 '금요일 우정을 나누는 모임'의 줄임말로 초창기에는 친목모임에 가까웠으나 이왕 모이는 김에 다 함께 잘사는 동네를 만들어보자고 하여 집수리 봉사를 하게되었다. 관내 저소득계층을 대상으로 집수리 봉사를 하고 있으며 월 1회를 주기로 활동하고 있다. 2020년에는 '2020 대한민국 자원봉사대상 행정안전부장관상'을 수상하였다.
  • 성북동 잊혀져 가는 우리동네 옛 이야기를 찾아서 3
    개인/단체 발간물
    성북동 잊혀져 가는 우리동네 옛 이야기를 찾아서 3
    총 3권으로 구성된 ‘잊혀져 가는 우리동네 옛이야기를 찾아서’ 중 제3권이다. (재)내셔널트러스트 문화유산기금에서 주관하고 성북구청 문화체육과에서 발행하였다. 2011년 4월 12월 27일에 발행한 제3권에서는 성북동의 역사, 별장, 변화, 마을과 생활, 시설, 과거 성북동에 대한 거주민들의 구술 자료, 문화유산을 담고 있다. 성북동의 역사와 문화를 발굴하여 알리기 위한 목적으로 퍼냈으며 조선시대부터 현재까지 문헌과 신문자료에 기록된 성북동과 주민들의 인터뷰를 기재했다. 부록으로는 여러 문화유산의 위치를 나타낸 지도와 본문 수록 인물 목록, 문화유산 목록을 담아두었다.

기록물 철 검색결과 총 45건

더 보기
  • 2023 성북구 관내 도로 촬영
    시청각류
    2023 성북구 관내 도로 촬영
    2023년 4월 24일부터 6월 13일까지 성북구 관내 도로 일대를 촬영하여 모아둔 것이다. 도로의 모습과 함께 근처에 위치한 주택, 건물, 골목, 계단 등 주변 풍경을 확인할 수 있다.
  • 2022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활동
    시청각류, 문서류
    2022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활동
    2022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활동의 결과물이다. 프로젝트 주제는 성북천 골목형 상점가의 상인 인터뷰를 통한 상권 분석이다. 활동과정에서 학생들의 전공을 활용하고, 인터뷰와 자료 수집을 과정에서 아카이빙을 체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활동에는 총 16명의 학생이 참여하였고, 사진, 녹음파일, 녹취록, 활동보고서 등의 기록물이 생산되었다. 아래는 각 조의 세부 활동 주제와 참여 학생 명단이다. 1조: 민속음식점(김동수, 박승민, 이돈경, 이준범) 2조: 가구/인테리어점(박준서, 안해찬, 표효경) 3조: 요식업체(문준영, 이계진, 임승빈) 4조: 성북천 골목형 상인회의 현 위치(남상윤, 박지원, 안정현) 5조: 노포와 신생 점포(김남운, 이영주, 최필규)
  • 돈암육교(미아리고개)
    시청각류
    돈암육교(미아리고개)
    2022년 7월 26일 오전 10시~오후 12시경 돈암동 돈암육교 위에서 촬영한 미아리고개 일대의 모습을 담은 영상이다.
  • 월곡역 육교
    시청각류
    월곡역 육교
    2022년 7월 13일 오후 2시~4시경 종암동 월곡역 육교 위에서 찍은 월곡역 일대의 모습을 담은 영상이다.
  • 국민대 꽃갈피 프로젝트
    시청각류
    국민대 꽃갈피 프로젝트
    꽃갈피 프로젝트는 성북구 어르신 책친구만들기 프로젝트로 국민대학교 행정학과 '꽃갈피팀'이 주최했다. 이 프로젝트는 2022년 5월 4일부터 25일까지 진행되었고, 청년층과 노년층이 세대 구분없이 함께 책친구가 되어 시니어 그림책을 감상하고, 이를 토대로 창작활동을 진행했다.

기록물 건 검색결과 총 11,998건

더 보기
  • 전국에 오천오백호
    기타
    전국에 오천오백호
    내용 : 안암동 45호, 정릉동 325호, 돈암동 73호 등 경인지구에 2,500호 전국 각지에 3,000호 등 일반 후생용 주택을 사회부가 건설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신문명 : 동아일보 발행 형태: 신문 기사 발행일 : 1953년 09월 16일 수요일
  • 서울후생주택
    기타
    서울후생주택
    내용 : 안암동과 정릉동에 후생주택의 건축이 완료되었고, 그 입주자를 선정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신문명 : 조선일보 발행 형태: 신문 기사 발행일 : 1954년 01월 10일 일요일
  • 재건주택에 원성
    기타
    재건주택에 원성
    내용 : 흙벽돌로 지은 정릉동 후생주택(재건주택) 의 부실 상황을 알리고, 해당 사태의 피해자와 건설 측 주택영단건축과장의 이야기를 싣고 있다. 신문명 : 조선일보 발행 형태: 신문 기사 발행일 : 1955년 03월 14일 일요일
  • 희미한 전력대책
    기타
    희미한 전력대책
    내용 : 정릉동 후생주택에 거주하던 필자가 후생주택 일대의 불안정한 전력공급과, 정전사고에 대해서 신문지면으로 지적하고 있다. 또한 상공부전력과에서 이에대해 해명하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신문명 : 경향신문 발행 형태: 신문 기사 발행일 : 1958년 12월 16일 화요일
  • 산촌의 봄
    기타
    산촌의 봄
    내용 : 정릉에 거주하다 한국전쟁을 겪으며 강원도로 이주하게 된 필자가 과거 거주하던 정릉의 모습을 묘사한 논단이다. 신문명 : 조선일보 발행 형태: 신문 기사 발행일 : 1958년 04월 30일 수요일

성북학 연구자료 검색결과 총 261건

더 보기
  • 학술자료
    헤테로토피아적 장소에 나타난 문화적 기억과 작품연구 -미아리고개와 주변 공간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과거 미아리고개라는 장소가 오늘날 어떻게 이질적 공간으로 배척되고 있었는지를 미셸 푸코의 헤테로토피아라는 관점에서 분석해보고, 오늘날 그 터의 의미와 집단의 장소 기억이 변화된 양상을 살펴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미아리고개와 주변 공간들에서 영감 받은 순수미술작가들의 작품을알라이다 아스만이 말한 문화적 기억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 중점적으로 다룬 공간은미아리 공동묘지, 미아리 점성촌, 그리고 미아리 고가 하부공간에 형성된 복합문화예술공간 미인도이다. 위 공간들에서 영감 받은 작품과 실제 미인도에서 진행된 기획전시 작품을 토대로 미아리고개와주변 공간이 오늘날 새롭게 정립하고 있는 문화적 기억을 환기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작품분석을 통해서 미아리고개라는 헤테로토피아적 장소가 오늘날 더는 타자화된 공간이 아닌, 생동감 있는 공간이자다양한 실험의 장으로 재생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런 점에서 미아리고개와 주변 공간에서 실시하는 다양한 프로젝트와 작업은 오늘날 대중에게 다양한 문화적 기억을 심어준다는 점에서 과거와 현재를 잇는 연결 다리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오늘날 무분별하게상실되어가는 장소 기억에 대한 기록과 더불어 상징적인 장소들을 새로운 매체를 통해 기억하는 작업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에 궁극적인 목적을 두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우리가 살아가는 장소들과 그 장소가 가진 기억의 가치를 중요하게 생각해볼 수 있게 하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
  • 학술자료
    서울 미아동의 문학지리학- 도시개발사와 문학적 재현
    이 논문은 일제하부터 1990년대까지 미아동의 구체적인 지명과 행정구역의 변동을 문학지리학적 관점에서 되짚어봄으로써, 미아동이 실제 행정구역으로서의 미아동과 심상적 지리로서의 미아리가 중첩되고 혼재된 동네였음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광수, 김동명, 서정주, 김소진, 윤대녕 등의 문학텍스트에 재현된 도시공간과 실제 도시공간의 개발사를 연관시키면서, 일제하 공동묘지 형성부터 난민정착지 사업을 통해 만들어진 달동네의 모습까지 도시개발의 역사에 따라 시기적으로 변화해온 미아동의 문학적 재현이 가진 역사적 의미를 보여주고자 하였다.
  • 학술자료
    소수자 배제에서 포용으로의 사회공간적 변화 연구: 서울시 동선동 점복촌의 시각장애인 역학사를 사례로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성북구 동선동 점복촌을 사례로 시각장애인 역학사에 대한 배제와 포용으로의 관계적 변화의 사회공간적 의미를 해석함으로써 포용도시 구현의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조선시대 판수라 불렸던 시각장애인 역학사는 국가의 지원 하에 점복·독경을 행하였으나 일제강점기에 미신타파의 대상이 되었다. 6·25 전쟁 후 서울 남산 자락과 종로 3가 등에 점복촌이 형성되었으나 도시정비사업으로 철거되고, 1970년대에 지가가저렴하고 유동인구가 많던 미아리 고개 주변에 점복촌이 형성되었다. 1990년대 말까지 동선동에서 점자도서관설립 반대, 전통거리 조성 사업의 무산, 역학원 운영에 대한 주민과의 마찰과 같은 사회공간적 차별과 배제가 나타났다. 2010년 이후에는 시각장애인의 점복·독경에 대한 법적·제도적 지원이 이루어지고, 도시재생활동을 통해 점복촌이 역사·문화적 가치를 지닌 장소 자산으로 인식되기 시작하였다. 지역 통합과 포용으로의 관계적 변화는, 배제를 극복하기 위한 공간적 전략으로서의 점복촌 형성 등 시각장애인 역학사 개인 및 집단 차원에서 전개한 주체적노력과 지역공동체 중심의 재생활동에 의한 것으로서, 이는 포용도시의 비전을 공유하기 위한 수행적 역할을 하였다고 볼 수 있다.
  • 학술자료
    서울의 문화유적과 콘텐츠화 방안-성북구 낙산지역을 중심으로-
    본고는 서울시 성북구 낙산지역의 역사적․문화적 위상을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낙산지역의 콘테츠화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낙산지역의 문화콘텐츠화의 필요성으로서 낙산지역의 역사적․문화적 위상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조선시대 낙산지역은 도성의 동쪽을 방어하는 성곽으로서의 위상뿐만 아니라 뛰어난 경치로 인해 당시 사람들이 경치를 遊賞하던 문화적 공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3장에서는 낙산지역의 주요 문화유적들을 점검하여 문제점을 지적하고 콘텐츠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상의 내용을 정리하고 몇 가지 첨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복원하지 못한 역사․문화적으로 의미 있는 낙산지역의 문화유적들은 복원해야 한다. 이와 관련해서는 석양루가 한 예가 될 것이다. 현재 석양루터는 이화동 주민들의 주거공간에 위치하여 복원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듯하다. 하지만 서울시가 창경궁과 종묘 사이를 잇는 복원사업의 맥락에서 생각해 볼 때, 문화재의 복원은 도시의 이미지와 가치를 제고하는 길이라 생각된다. 따라서 효종대 최고의 甲第이자 사대부들의 문화공간이었던 석양루를 복원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고 판단된다. 둘째, 현재 복원된 문화유적들은 구체적인 의미가 드러날 수 있도록 보완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庇雨堂과 淨業院터가 예가 될 것이다. 비우당의 경우, 비교적 복원이 잘 되었다고 할 수 있지만 비우당의 구체적인 의미와 이수광의 삶과 학문을 좀더 적극적으로 소개할 필요가 있다. 정업원터의 경우는 관람공간도 협소하고 해설이 소략하여 문화유적으로서의 가치를 제대로 살리지 못하고 있다. 낙산지역을 방문한 관람객들이 대부분 성곽을 돌고 이화동 벽화마을만 구경하고 돌아가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문화유적에 대한 구체적인 해설이 담긴 표지석과 영상 안내실 등을 갖출 필요가 있다. 셋째, 낙산공원의 산책로를 비우당․정업원․청룡사․동망봉․삼군부 총무당으로까지 확장할 필요가 있다. 현재 문화유적과 연결된 낙산공원의 산책로는 성곽 안쪽을 중심으로 조성되어 있어서 성곽 바깥쪽인 창신동․삼선동․숭인동의 문화유적들은 관람객들이 접근하기 어렵다. 그 결과 비우당․정업원․청룡사․동망봉․삼군부 총무당 등은 있는지조차 모르는 관람객들이 많다. 따라서 낙산 정상에 있는 놀이광장에서부터 창신동․숭인동․삼선동을 연결하는 역사․문화 탐방코스로서의 산책로를 조성할 필요가 있다. 넷째, 관람객들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행사를 조직해야 한다. 2장에서 언급했던 ‘巡城놀이’는 현재 서울시에서 프로그램화하여 잘 진행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다만 낙산지역이 조선시대 저명인사들이 많이 거처하였고 별장을 중심으로 酬唱과 풍류 문화가 이루어졌던 공간임을 착안하여 주변 한성대학교와 연계하여 문학 관련 행사를 마련하거나 국악 관련 공연을 개최하면 좋을 듯하다.
  • 학술자료
    옛 文人들이 사랑한 서울의 동북 지역
    조선 시대 文人들은 도성 생활의 스트레스에서 벗어나기 위해 한양의 동북 지역에 별장과 정자를 짓고 노닐었다. 吳泰周와 吳瑗은 鍾巖洞에 별장을 지어 詩酒와 書畵를 즐기며 文友들과 교유하였다. 종암의 별장을 배경으로 한 오원의 시에는 부친인 오태주를 그리워하는 내용이 잘 나타나 있다. 洪良浩는 牛耳洞에 별장을 꾸미고 독서와 사색으로 이루어진 한가한 삶을 영위하였다. 소의 귀가 지니는 의미를 철학적으로 해석하여 安分自足하는 은거를 꿈꾸었다. 石串洞에 東庄이라는 거처를 마련한 金昌業은 손수 농사를 지으며 집과 주위의 모든 사물에 대해 큰 애정을보였다. 나무, 꽃, 풀, 과일, 채소 등에 대한 연작시는 조선 후기에 새로이 나타난 주거의 양상을 보여준다는점에서 소중한 의의를 지닌다. 서울의 동북 지역에 있는 北漢山은 유명한 관광지였을 뿐만 아니라 학업에 힘쓰는 공간 등 다양한 성격을지니고 있었다. 그보다 북쪽에 위치한 道峯山과 水落山은 번잡한 도성을 떠나 은거를 실천하고자 하는 이들이사랑하였던 곳이다. 도봉산에는 趙光祖와 劉希慶, 수락산에는 金時習과 朴世堂의 자취가 남아 있다.

도서 검색결과 총 572,807건

더 보기